반응형
[꼭 알아야 할 산불정보] 산불 예방캠페인, 위험지역 경고까지
“어? 이 정도면 꺼졌겠지”
그렇게 방심한 사이, 누군가의 집과 마을, 전 재산이 잿더미가 됩니다.

2025년 봄, 이미 경남·경북 지역의 대형 산불로 수백 헥타르가 피해를 입었고, 다수의 주민들이 임시 대피소로 옮겨졌습니다.
산불, 남의 일이 아닙니다. 특히 이 글에서는 지금 꼭 확인해야 할 산불 관련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

1. 산불피해 지원금, 지금도 신청 가능합니다
✅ 산불피해 시 정부 지원금 항목은?
주택 전소 | 1,300만 원 (1가구당) |
농림시설 | 최대 2,000만 원 보상 |
축산·양식업 | 사육두수·면적에 따라 보상금 지급 |
대피시설·임시거주지 제공 | 최대 6개월 지원 가능 |
피해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 접수 필수
TIP: 등본, 주민등록증, 피해 확인서, 현장 사진 등 준비해야 접수 원활합니다.
2. 산불 예방 캠페인, 전국적으로 확대 중
‘불씨 하나가 산을 태웁니다’
2025년 봄, 산림청과 지자체가 함께하는 산불 예방 캠페인이 전국 국립공원 및 등산로 입구에서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.
✅ 주요 캠페인 활동
- 입산 시 라이터, 버너 반입 단속 강화
- 입산통제구역 지정 및 사전 예고 방송
- 지역 자원봉사단 연계한 산불감시단 운영
- SNS 인증형 캠페인: #산불예방실천중, #나무는지켜야죠
학교, 기업 단체 참가도 가능하며, 참여 인증 시 지역 봉사 시간 인정 혜택도 있어요!
3. 위험지역 경고 – 우리 동네 산불주의보 확인하세요
✅ 산불 고위험 지역 기준은?
상시위험지역 | 강풍 + 건조특보, 산지 밀집 지역, 인근 화목보일러 사용 |
계절성 고위험 | 3~5월, 10~11월, 잔디/낙엽 말라붙는 시기 |
✅ 실시간 확인 방법

- 산림청 산불상황실: forest.go.kr
- 행안부 안전디딤돌 앱: 지역별 위험도 푸시 알림 설정 가능
- 매일 오전 9시, 위험지역 안내 문자 수신 여부도 확인해보세요!
4. 행동 리스트 (체크리스트)
- ☑ 우리 동네 산불주의보 떴는지 확인했다
- ☑ 최근 30일 이내 산불피해 있으면 지원금 신청 문의 완료
- ☑ 등산 갈 땐 라이타·버너 소지하지 않음
- ☑ 불법 소각 금지, 마당 태우기 안 함
- ☑ 산불 예방 SNS 챌린지 참여함
- ☑ 부모님, 어르신께 위험지역 안내 드림
5. 한 줄 정리
“불씨 하나가 인생을 태우지 않도록.
산불은 예방할 수 있고, 피해는 보상받아야 합니다.”
반응형
'전해주고 싶은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벚꽃추경 2탄] 산불 복구부터 AI 산업까지…10조 원 어디에 쓰이나? (0) | 2025.03.31 |
---|---|
[벚꽃 추경 1탄] 10조? 산불 피해 + 민생 안정 '긴급 추경' 왜 터졌나? (0) | 2025.03.31 |
봄인데 실내는 왜 이렇게 답답할까? 공기청정기 필요한 진짜 이유 (0) | 2025.03.30 |
2025 소상공인 정책자금 종류별 정리, 받을 수 있는 내 지원금찾기 (0) | 2025.03.30 |
모르면 진짜 손해… 2025 소상공인 정책 자금 (0) | 2025.03.29 |